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 포켓몬빵 대란 새로운 루트를 뚫다!! 안녕하세요!! 백쑤아빠 입니다. 편의점 눈치게임으로 포켓몬스터빵을 겟하기 위해서 밤10시면 온동네를 발품팔아 뛰어 다니며 자전거탄 중학교 아이들과 경쟁을 하며 전쟁?! 을 치뤄왔던 지난 한달 이제는 그만 하고 싶다고 아들에게 사정을 하며 아빠를 살려달라 애원했지만 아이에게서 들려오는 한마디 " 아빠!! 이번 어린이날 선물은 포켓몬빵으로 주세요!! " 띠로리~~ ㅠㅠ 하지만 아이들에게 실망을 안겨줄수 없기에..5월4일 그날도 자전거탄 중딩들과 한바탕 전쟁을 치른뒤.. 2개 겟!!!! 아이들은 아직도 포켓몬스터빵이 고프다고 난리난리 포켓몬 띠부띠부씰을 모두 모을거라고 선전포고를 합니다. 동네 마트에서 포켓몬빵 새로운 루트를 찾다!! 백쑤아빠는 요즘 목표는 하나 입니다. 포켓몬빵!! 이아이를 찾기위해 옆동네까.. 2022. 5. 7. 식물의 호흡 1. 식물의 호흡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호흡을 합니다. 호흡으로 공기 중의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내보냅니다. 2. 식물의 기체의 출입 식물에 햇빛이 비치면 광합성을 하고,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고 산소를 내보냅니다. 또한 식물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호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즉, 햇빛 받을 때는 광합성과 호흡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호흡보다 광합성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흡에 의한 기체의 출입보다도 기체의 출입이 많아집니다. 이때문에 햇빛을 받고 있을때는 전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3. 햇빛.. 2022. 5. 5. 공생과 천적 진딧물은 진디라고 불리는 작고 연약한 곤충류 입니다. 식물의 줄기 등에 무리 지어 살고, 많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채소를 볼품없게 만들어서 인간에게 해충 으로 여겨집니다. 진딧물은 줄기의 관다발의 체관 속에 있는 양분이 많은 즙을 빨아서 생활하고 있지만 활발하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무당벌레 에게 쉽게 잡아 먹힙니다. 그래서 진딧물은 개미로부터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진딧물은 엉덩이에 당분이 높은 꿀을 만들어서 개미에게 줍니다. 개미는 진딧물 한테 꿀을 얻는 대신에 무당벌레를 쫓아냅니다. 진딧물과 개미처럼 두 종류의 생물이 서로 도움을 주고 받거나 한쪽이 다른쪽한테 도움을 받거나 하는 식의 관계를 공생이라고 합니다. 땅속의 뿌리혹박테리아라는 세균은 콩과 식물의 뿌리에 들어 있지만, 질소(단백 질의원료).. 2022. 5. 4. 식물을보면 계절을 알 수 있을까요?? 학교 주변이나 운동장, 공원, 들판, 마당 화단, 길가 등을 비롯해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식물이 피어 있습니다. 봄이 되어 기온이 올라가면 식물은 한꺼번에 꽃을 피워서 우리를 즐겁게 해줍니다. 식물은 꽃구경이나 화초처럼 우리를 일상생활 속에도 깊이 관계되어 있습니다. 봄에 씨를 뿌리는 식물들은 대부분 여름 에 꽃을 피웁니다. 가을이 되면 곳곳에 멋진 단풍을 즐길수 있어서 우리 눈은 행복해집니다. 또한 이듬해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은 이 시기에 씨앗이나 알뿌리를 심습니다. 씨앗은 "종자" 라고도 합니다. 식물은 다양한 번식 방법을 취합 니다. 보통은 꽃이 피는 식물은 씨앗으로 번식을 합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추운 겨울을 견디면서 봄이오기를 기다립니다. 낙엽수는 낙엽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줄기나 가지는 그대로.. 2022. 5. 4. 배추흰나비의 한살이(완전탈바꿈) 배추흰나비는 알 --> 번데기 --> 성충 으로 자랍니다. 알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유채과의 유채나 양배추 잎 뒷면에 알이 붙어 있습니다. 크기는 1mm 정도이고, 럭비공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알을 낳았을 떄는 연노란색 이고, 부화하기 전은 깉은 노란색 입니다. 3 ~ 6일 정도 후에 부화 합니다. 애벌레 금방부화한 1령유충은 2mm 정도로 노란색을 띠고, 먼저 자신이 나온 알껍데기를 먹습니다. 애벌레가 식물의 잎을 먹으면서 몸이 초록색으로 변라기 때문에 "초록벌레" 라고도 합니다. 16개의 다리가 있고, 가슴다리는 성충의 다리가 됩니다. 배다리와 꼬리다리는 성충이 되면 없어집니다. 네번 껍질을 벗은 5령 유충은 2 ~ 3cm 정도가 되고, 입에서 실을 뽑아 몸을 나무나 잎에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 2022. 5. 4. 장수풍뎅이와 귀뚜라미는 성장하는 방식이 다를까?? 장수풍뎅이나 귀뚜라미응 길러본 적이 있으신가요?? 둘다 곤충의 종류이지만, 실제로 길러본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성장하는 방식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입니다. 장수풍뎅이는 애벌레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낙옆이나 썩은 잎이 섞인 땅속에서 애벌레의 모습으로 겨울을 지내고, 번데기 가 되어 다음 초여름에 성충이 됩니다.반면 귀뚜라미는 성충을 사육 상자에 넣어서 기르면 벌레우는 소리를 즐길수 있습니다. 귀뚜라미도 장수풍뎅이 와 마찬가지로 애벌레의 시기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귀뚜라미에는 번데기 시기는 없습니다. 알에서 애벌레, 성충으로 자랍니다. 이와 같이 곤충은 두 종류의 성장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번데기의 시기가 있는 성장방식을 완전 탈바꿈, 번데기의 시기가 없는 성장방식을 불완전탈바꿈 이.. 2022. 5. 4. 이전 1 ···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